2014년 새해
가족들과 함께 가까운 의령에 들러 가족에 화목과 건강을 기원 하고자 차에 올랐다
임진왜란때 최초의 의병을 일으킨 홍의장군 곽재우와 휘하 의병들이 목숨을 다하여 왜군을 무찔렀던 승첩지 정암진이다.
지리산의 정기를 품은 역사의 숨결이 흐르는 남강의 줄기이다.
이 남강의 물속에는 솥을 닮은 바위가 하나 있는데 이를 솥바위라 칭하고 마을을 정암진이라 한다
이 솥에 얽힌 전설이 있는데 솥바위를 중심으로 반경 8km안에 부귀가 끈ㅇ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삼성그룹,엘지그룹,효성그룹의 창업자가 출생하였다
지금도 창업과입시를 앞두고 기도를 올리고 치성을 드리면 그 소원을 들어 준다고 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아 기원을 올리고 있다.
호암 이병철 생가
일붕사 한국의 승려이자 불교학자이다. 1932년 출가하였으며, 동아대·동국대 등에서 교수를 역임하였다. 1988년 대한불교 일붕선교종을 설립하여 종정에 오르고, 1992년에는 세계불교법왕청을 설립하고 초대 법왕이 되었다. |
|
일붕 서경보 스님 프로필-
1914년 출생
1932년 19세 1세 제주도 산방굴사 (현 광명사)에서 수계득도
1933년 20세 2세 지리산 화엄사로 진진응 대강백을 찾아 제주를 떠남
1935년 22세 4세 전북 위봉사에서 사미과와 사집과 수료, 유춘담스님께 <일붕>이란 법호를 받음
1936년 - 39년 23세 - 26세 5세 - 8세 서울 동대문 개운사 대원암에서 박한영 대강백의 수제자가 되어 사교과와 대교과를 마침
1940년 27세 9세 전북 김제 금산사의 포광 김영수 스님께 식수행상을 약 6개월에 걸쳐 사사받음,
방한암 스님이 조실로 계시던 강원도 월정사 상원암의 선원 원장이 되어 학인들을 지도
1944년 - 46년 31세 - 33세 13세 - 15세 월정사 이종욱 주지스님의 도움으로 임제종 묘심사 경내에 있는 일본 경도의 임제전문대학 전문부에 유학, 졸업 (1946년 1월 18일)
1946년 - 50년 33세 - 37세 15세 - 19세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입학, 졸업.
1950년 - 53년 37세 - 39세 19세 - 22세 원광대, 전북대 강사
1953년 39세 22세 경남일보 논설위원
1953년 - 56년 39세 - 43세 22세 - 25세 진주 해인대학 (경상대 전신) 교수
1955년 - 56년 42세 - 43세 24세 - 25세 부산대학교 강사
1956년 - 59년 43세 - 46세 25세 - 28세 대한불교 조계종 제주도 종무원장
1956년 - 63년 43세 - 50세 25세 - 32세 부산 동아대 문리대 철학과 주임교수
1958년 45세 27세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5차 세계불교도우의회에 하동산 종정, 이청담 총무원장과 함께 한국 대표로 참석
1960년 - 61년 47세 - 48세 29세 - 30세 미얀마 랭군의 상가대학 교환교수
1962년 49세 31세 대한불교 조계종 불국사 주지,
자유중국 삼장학원에서 삼장법사(불학박사) 학위를 받음,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전국 불교청년회 총재
본문 |
법명은 일붕(一鵬)이다. 제주도 서귀포에서 출생하였다. 1932년 출가하여 구례 화엄사(華嚴寺), 완주 위봉사(威鳳寺), 서울 개운사(開運寺) 등에서 공부하였다. 1944년 일본에 가서 교토[京都]의 임제종 임제전문학교(臨濟專門學校)에서 수학하였다. 귀국 후 다시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 입학하여 1950년 졸업하였다. 1953년 해인대학(지금의 경남대학교)을 비롯하여 동아대학교·동국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하였다. 이후 해외포교에 주력하는 한편, 제4공화국의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제5공화국의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 참가하였다. 1988년에는 조계종에서 갈라져 나와 대한불교 일붕선교종(一鵬禪敎宗)을 새로 설립하고 종정(宗正)에 올랐으며, 1992년에는 세계불교법왕청을 설립하고 초대 법왕이 되었다. 저서에 《불교성전(佛敎聖典)》,《불교사상교양전집》 등이 있다.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