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지역에서 인공적인 보호를 받지 않고 자연상태 그대로 생활하는 식물을 말한다.
▣ 좁은 의미의 자생 식물 어떤 지역에서 원래부터 살고 있던 식물로 어느 특정국가 또는 지역에만 존재하는 특산식물(specialized plants)도 포함된다.
▣ 자생 식물의 의의 인간은 원래 자연속의 한 생명체로서 그 속에 인간들이 잘 동화될 때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가질 수 있다. 우리는 조상 대대로 우리 땅에 자생하는 식물들을 이용하여 병을 고치고 먹으며, 환경을 유지하면서 살아왔기 때문에 우리 나라 자생 식물은 외래 식물에 비해 기후와 토질에 알맞고 우리 국민의 건강에 더 좋다. 현재 서구 일변도의 조경이나 관상식물을 우리의 자생식물로 대체하기 위하여 학문적인 연구 및 실제 농민의 생산에 필요한 연구가 수행되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사람들이 우리의 자생식물을 사랑하도록 노력해야 되겠다.
▣자생식물의 분류와 그 방법 ▶ 식물분류의 정의 지구상에서 자라는 식물을 식별·유별·명명하여 우리가 필요로 하는 식물과 필요로 하지 않는 식물을 가려내고 정리하는 것 식별 : 어떠한 식물과 식물 간에 서로 같지 않음을 가려내는 것. 즉 같고 같지 않음을 가려내는 것 명명 : 식물에 정확한 이름(명칭)을 붙이는 것. 국제식물명명규약에 따름. 유별 : 형태학적·생리학적 또는 유전학적 유연관계에 따라 서로 가깝고 먼 관계를 따져 일정한 분류법식에 따라 배치시키는 것. 종<속<과<목<강<문<계로 처리된다.
▶ 분류 방법 인위분류법 : 인간이 필요한 분류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용도 : 관상용 또는 식용 등의 용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형 : 식물의 각기관의 형태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 예)유한화서·무한화서 수적 배열 : 수술과 암술의 수 등 어떠한 식물기관의 수에 의해 분류. 자연분류법 : 과학적인 관찰에 따라 나누는 방법 예)식물계의 자엽의 수, 씨앗의 위치에 따라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나누는 것. 계통분류법 : 식물 간의 근연 또는 원연관계를 중요시
▶ 식별 방법 동 정 : 처음보는 식물을 식별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일이다. 알고자 하는 식물을 이미 알려져 있는 식물과 비교하여 적절한 종명을 알아내는 것을 동정이라 한다. 검색표로 동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 검색표 : 검색표는 전혀 가보지 않은 외지에 찾아가는 것과 같이 최종 식물명을 좁혀가는 방법이다.
▣ 자생식물의 분류단위와 명명법
▶분류 단위 국제식물 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1972)에 의해 정해져 있다. 이는 계통적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식물계→문→강→목 →과→속→종의 단위로 세분 된다. ▶세분화 분류단위에 따라 더 세분화 될 수 있다. 강을 세분하여 아강으로, 과 밑에 아과, 다시 족으로 나눈 다음 속으로나눌 수 있다. 식물의 가장 중요한 분류단위 : 종 종 : 분류단위로 자신의 형질을 후손에게 유전할 수 있는 식물군 속 : 종의 무리 과 : 속의 무리로서 일률적인 특색을 나타내는 것 ∥과 : 어미+aceae 예)백합과(Liliaceae) ,장미과(Rosaceae) (예외) 벼과→Gramineae , 십자화과→Cruciferae , 가래나무과→Guttiferae, 꿀풀과 →Labiatae , 야자과→Palmae , 콩과→Leguminosae, 산형과→Umbeliiferae , 국화과→Compositae ∥목 : 어미+alse ∥강 : 어미+ae ∥기타 : 아목(ineae),아과(oideae),족(eae),아족(inae),아속(subgen),아종(spp), 변종(var),아변종(subvar),품종(for , f),아품종(suvfor),개체(cl)
▶ 명명법 국제식물명명규약에 따라 이름을 붙인다. 또 학명은 라틴 또는 라틴어화 한다. 학명에 사용되는 것 : 속명+종명+명명자 Cf) 국제식물명명규약의 주내용 식물명과 동물명은 각각 독립적이어야 하며 라틴어화해야 한다. 먼저 명명한 사람의 것으로 출판된 것을 우선한다는 것이다. 각 분류군은 맨 먼저 명명된 한 개의 정확한 명칭을 가진다.
▣한국의 자생식물분포 ▶ 식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 ①북위 43°에서 33°에 걸쳐 길게 뻗어 있는 반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남북의 위도차에 의 한 영향이 크다. ②산이 많고 산맥이 길게 늘어져 있어 식물식생에 영향을 주고 있다. ③태백 산맥을 중심으로 겨울에는 눈이 많은 영동 지방과 서해안의 건조한 기후 차이
▶ 한국의 식생군 한국의 식생군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난지식생군 : 연평균기온14℃인 남해안,울릉도지역으로 많은 식물들이 자생한다. 이지역에는 상록성 관엽식물이 분포한다. (2)온대식생군 : 북위 35°부터 43°2분 사이에 있다. 우라나라에 가장 많이 있는 소나무와 다른 낙엽수와 활엽수등 때죽나무, 개나리, 진달래, 산철쭉, 참억새, 실새풀, 애초, 도 라지, 꽃며느리밥풀, 지리바꽃등 많은 종류가 서식하고 있다. (3)한대식생군 ☞ 한대식생식물은 1000m이상 고지의 설악산과 1300m이상의 지리산, 1500m이상의 한라산 고산지에서 자라고 있는 식생을 말한다. 연평균기온은 5℃이다. 테라우키아 금강초롱꽃이 주로 자생한다. 우리 나라의 전형적인 식생군은 온대식생군이 대부분이다.
▣ 한국의 자생식물 현황 ▶ 처음 종합 : 1952년 Nakai ☞ 3176종의 관속식물 ▶ 그 후 연구에의해 외래도입식물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고 국내자생종이 2898종이라 집계. ▶ 그후 연구 순 국내자생식물은 170과·897속·2898종·705종·929변종·301품종 ·23교잡종으로써 종 이하의 서로 다른 식물이 4158종류가 된다. 외래종은 438종으로 국내에서 귀화된 종류이다. ▶ 특산 식물 : 외국에는 없고 우리 나라의 특정지역에만 있는 식물 ☞ 61과,172속,339종,46변종,22품종으로 407종이 된다.☞국내 자생식물 중에서 특별히 중요한 식물 로써 보호육성되어야 한다. 특산 식물의 주요 분포지역 (특산 식물이 알려진 지역만) 한 라산(75:가장多),지리산(46),백두산(42),울릉도(36),금강산(34),설악산(23),서울(22),백 양산(16),광릉(16),낭림산(16), 속리산(14),백운산(12)순이다.한라산 : 국내 식물자원의 보고지역. 한라산에서 자라는 89종의 특산식물중에서 74종류는 한라산에서만 볼 수있다.
▶ 국내 자생 화훼식물 현황 국내 자생 화훼식물중 관상가치가 높은 것만 593종이 된다.
실용상 분류 (단위:종수(%)) 일년초------------------- 52(8.7) 숙근초-------------------141(23.8) 구근류------------------- 27(4.5) 정원수 및 화목류---------373(63) 계---------------------593(100) 일년초화류 : 생육기간이 12개월 이내인 초화류를 1년초화라고 한다. 숙근초 : 다년생초화류라고도 한다 금새우란, 패랭이꽃, 옥잠화류, 꽃창포, 국화꽃류, 엉겅퀴류, 동자꽃…… 구근류 예)상사화, 제주수선화, 나리류 화목류 : 꽃을 주로 관상하는 식물의 총칭 예)진달래, 라일락류 난류 : 단일과로는 최대군을 이룸 동양란 : 주로 온대지역분포, 자생란이 많다. 서양란 : 주로 열대지역분포, 착생란이 많다.
▣특정야생식물 특정야생식물이란 그 종이 학술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거나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식물로 자연생태계의 균형유지와 그 종이 멸종위기에 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부 장관이 관계중앙행정기관과 협의하여 지정, 고시하는 야생식물을 말한다. 이는 환경보전법 제3조 제4호에 의한 것으로, 이 법 제39조 제2호에 의해 이들 식물을 환경부 장관의 허가 또는 다른 법령에 의한 인가 등을 받지 아니하고 포획, 채취, 이식, 수출, 가공, 유통 또는 보관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되어 있다. 환경부는 지난 89년 1차로 특정야생식물을 지정한 바 있고, 93년 1월에는 이를 보완 126종을 특정야생식물로 지정했다. 이 식물들을 지정 이유별로 보면 멸종위기종 16, 감소추세종 20, 한국특산종 41, 희귀종 49종 등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특정야생식물 선정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는데, 그것은 지정된 126종의 식물보다 더욱 멸종위기를 맞고 있는 여러 식물이 빠져 있고 종으로서의 위치에 대한 분류학적 검증이 미흡한 것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보춘화(춘란)에 비해서 더욱 심각한 멸종위기를 맞고 있는 복주머니란(개불알꽃)이 빠져 있는가 하면, 한국특산종이기는 하나 멸종위기를 맞고 있다고는 볼 수 없는 관중이 들어 있고, 또 분류학적 검증이 완벽하지 못한 점현호색 등이 들어 있다는 점 등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가지 더 지적한다면 서울 종로5가의 종묘상 앞 노점에서 팔고 있는 보춘화, 가평이나 화천 등지에서 마른 잎과 줄기를 포장해서 팔고 있는 삼지구엽초, 설악산에서 삼지구엽초라 하며 술을 담거나 말려서 팔고 있는 연잎꿩의다리(실제로는 독초임) 등은 모두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처벌됨에도 불구하고 버젓이 나돌고 있다는 점이다. 하루 빨리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서 단속을 벌여 근절시켜야 할 일이다.
▣ 특정야생식물 분류 ▶멸종위기종(Endangered Species) - 총 16종 자연생태계의 훼손과 무분별한 채취 및 포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서식지와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한 종 생존과 생식이 위험한 상태에 처한 종 보호조치가 없으면 생존이 어려운 종
▶감소추세종(Vulnerable Species) - 총 20종 무분별한 채취 및 포획등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종 널리 분포하지만 감소중인 종 서식지의 전부 또는 일부 감소로 희귀해질 수 있는 종
▶한국특산종(Endemic Species) - 총 41종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만 서식 또는 자생하는 종
▶희귀종(Rare Species) - 총 49종 개체수가 아주 희소하고 학술적으로 연구가치가 높은 종 출현빈도가 낮아 사라질 위험이 있는 종 국지적으로 한정되어 분포하는 종 개체군이 적어 생존유지가 불안한 종
▣ 환경부 지정 특정야생식물 126종 솔잎난, 관중, 고란초, 설악눈주목, 자라풀, 대암사초, 섬천남성, 섬남성, 금강애기나리, 큰연령초, 솔나리, 섬말나리, 한라돌창포, 함양원추리, 엽란, 여우꼬리풀, 큰솔나리, 땅나리, 왕둥굴레, 자주솜대, 층층둥굴레, 개상사화, 백양꽃, 흰등심붓꽃, 흰각시붓꽃, 대청부채, 부채붓꽃, 난장이붓꽃, 노랑무늬붓꽃, 천마, 흑난초, 풍란, 나도풍란, 백운란, 사철란, 여름새우란, 새우난초, 금새우난초, 약난초, 광릉요강꽃, 해오라비난초, 나도제비란, 으름난초, 무엽란, 큰새우란, 섬새우란, 석곡, 보춘화, 대흥란, 삼백초, 노란팽나무, 제주큰물통이, 개족도리, 섬자리공, 한라장구채, 순채, 가시연꽃, 매화마름, 지리바꽃, 노랑돌쩌귀, 만주바람꽃, 모데미풀, 연잎꿩의다리, 세뿔투구꽃, 한계령풀, 삼지구엽초, 깽깽이풀, 흑오미자, 갈퀴현호색, 난장이현호색, 점현호색, 고추냉이, 참고추냉이, 끈끈이귀개, 끈끈이주걱, 도깨비부채, 헐떡이풀, 나도승마, 왕자귀나무, 개느삼, 된장풀, 왕초피, 두메대극, 시로미, 먹넌출, 황근, 왕제비꽃, 금강제비꽃, 백서향, 땃두릅나무, 등대시호, 섬시호, 암매, 구상난풀, 홍월귤, 홍만병초, 흰진달래, 백량금, 기생꽃, 설앵초, 금강봄맞이, 만리화, 산개나리, 흰그늘용담, 비로용담, 대성쓴풀, 조름나물, 자난초, 미치광이풀, 구름송이풀, 섬현삼, 만주송이풀, 개종용, 초종용, 이삭귀개, 땅귀개, 통발, 흰등괴불, 금강초롱, 도라지모시대, 솜다리, 갯취, 국화방망이, 어리병풍, 분취, 홍도서덜취
▣ 한국의 희귀 및 위기식물 01. 솔 잎 란 13. 문 주 란 25. 모데미풀 02. 파초일엽 14. 개상사화 26. 깽깽이풀 03. 장 억 새 15. 노랑무늬붓꽃 27. 한계령초 04. 금 억 새 16. 대 흥 란 28. 끈끈이귀개 05. 애기앉은부채 17. 복주머니꽃 29. 둥근잎꿩의비름 06. 금강애기나리 18. 천 마 30. 능금나무 07. 솔 나 리 19. 백 운 난 31. 나도양지꽃 08. 섬말나리 20. 순 채 32. 개 느 삼 09. 큰두루미꽃 21. 가시연꽃 33. 금강제비꽃 10. 한라돌창포 22. 세뿔투구꽃 34. 왕제비꽃 11. 뻐꾹나리 23. 너도바람꽃 35. 암 매 12. 큰연영초 24. 만주바람꽃
▶ 솔 잎 란 (솔입란 과).Psilotum nudum (Linne) Griseb. 위기종 (危機種) 열대성 양치식물로 상록 다년생 초본이며 바위틈에서 자란다. 제주도 천지연의 서쪽과 천제연폭포의 암벽상에 자라며 절멸의 위기에 직면할 정도로 생활 장소가 국한되어 있다.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에 널리 분포하나 동남아지방에서는 우리나라 제주도가 분포상의 북한지대(北限地帶)가 된다.
▶ 파 초 일 엽 (꼬리고사리 과).Asplenium antiquum Makino 절종종 (絶種種) 아열대성 식물분자(植物分子)로서 제주도 숲섬이 이 식물의 분포상의 북한지대(北限地帶)가 된다. 8.15직후 혼란기에 벌목으로 산림이 많이 훼손되어 파초일엽의 생육환경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고 사람들이 눈에 띄는 대로 캐낸 탓으로 자생지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화원에서는 관상용으로 화분에 널리 재배하고 있다. 환경부가 이미 멸종됐다고 발표하였으나 10포기가 제주 서귀포시 숲섬(森島) 자생지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1996년 6월 26일 확인됐다.(한국일보 기사참조)
▶ 장 억 새 (화본 과).Miscanthus changii Y. Lee 희귀종 (稀貴種) 경기도 가평에서 채집된 식물을 1964년 신종으로 발표하였으나 그 후 이 식물은 중부지방에서 몇차례 발견되었다. 지역적인 분포가 광범위하지 못하므로 희귀한 종이다.
▶ 금 억 새 (화본 과).Miscanthus chejuensis Y. Lee 희귀종 (稀貴種) 직접적인 위협 아래 있지는 않지만 한라산의 건조하고 양지바른 산기슭에만 제한되어 분포하며 군락도 적으므로 희귀하다.
▶ 애기앉은부채 (천남성 과).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희귀종 (稀貴種) 강원도 설악산, 대관령, 능정산, 태백산 등 중부 이북의 산지에만 나고 개체수도 매우 적은 희소(稀少)한 식물이다. 또한 민간(民間)에서 앉은부채와 같이 근경(根莖)과 잎을 구토진정(嘔吐陳情) 또는 이요제(利尿劑)로 사용하기 위해 채취되고 있다.
▶ 금강애기나리 (백합 과).Disporum ovale Ohwi 희귀종 (稀貴種)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비교적 높은 산의 침엽수림 밑의 부식절이 많은 토양에 자라며 분포지역은 많으나 개체군의 크기는 그리 크지 않다.
▶ 솔 나 리 (백합 과).Lilium cernum Kom. 희귀종 (稀貴種) 북방계 식물인자로 남한에서는 강원도 설악산, 금강산, 태백산, 문래산, 경기도 명지산, 충청북도 대청댐 부근, 경상북도 주왕산, 경상남도 합천군에서 채집된 바 있는 희소한 종이다. 또한 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으로 채취되고 있는 식물이다.
▶ 섬 말 나 리 (백합 과).Lilium hansonii Leichtl. 희귀종 (稀貴種) 주로 우리나라 울릉도에 자생하는 특산식물로 분포 범위가 제한되어 있고 원예용으로 채취될 우려가 있는 희귀식물이다. 문헌상으로는 강원도 금강산, 묵계, 함경도 원산, 무산령에도 분포하고, 만주, 아무르, 우수리지방에도 분포한다.
▶ 큰두루미꽃 (백합 과).Majanthemum dilataum (Wood) Nelsons et Macbr 희귀종 (稀貴種) 울릉도, 강원도, 소백산 등 특정 지역에 한해서 자라는 희귀식물이다. 특히 아고산대(亞高山帶)의 침엽수림 밑에 자란다. 울릉도의 경우는 큰두루미꽃의 개체군이 크고 식물체도 육지의 것에 비해 상당히 크며 윤택이 많이 난다.
▶ 한라돌창포 (백합 과).Tofieldia fauriei Lev. et Vnt. 희귀종 (稀貴種) 우리나라 제주도 특산종으로 근래에는 등산객의 증가로 생육환경이 많이 파괴되어 희소해진 식물이다. 한라산의 1700m 부근부터 정상까지 바위 곁에 붙어 자란다.
▶ 뻐 꾹 나 리 (백합 과).Tricyrtis dilatata Nakai 희귀종 (稀貴種) 중부 이남에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로 분포 지역은 비교적 많으나 개체군이 작다. 경기도 광릉, 충청북도 면주지산, 각호산, 충청남도 안면도, 전라남도 백양사, 지리산, 경상남도 함양 황석산, 충무, 제주도 한라산 등에 분포한다.
▶ 큰 연 영 초 (백합 과).Trillium tschonoskii Maxim 희귀종 (稀貴種) 과거에는 여러 지역에 자란 것으로 문헌에 나타나 있으나 실제로 흔히 보기 힘들고, 현재는 울릉도와 강원도 등에만 분포한다. 이들 지역에 자라는 식물의 개체군은 위기에 처한 정도는 아니나 식물체가 크고 눈에 잘 띄어서 채취되기 쉬우므로 보호가 필요하다.
▶ 문 주 란 (수선화 과).Crinum asiaticum Linne 희귀종 (稀貴種)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동쪽 토끼섬에 한정되어 자생한다. 관상용으로 제주도 시내 곳곳에 이식해 놓은 상태이고 전국 각 지역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대형의 상록 다년초로서 제주도 토끼섬 해변에 자생하고 있다. 문주란을 보호하기 위해 돌담을 쌓아 놓았는데 개체군 의 급증으로 오히려 생육상태가 좋지 않다. 우너종은 아프리카 대륙에 나는데 종자가 인도양을 거쳐 아시아 각 해변 및 남미, 북미해변에 도달된 것으로 추측된다.
▶ 개 상 사 화 (수선화 과).Lycoris aurea Herb 취약종 (脆弱種) 일정 지역에서만 한정되어 생육하고 특히 관상용으로 채취되므로 개체군의 수가 감소되어가고 있는 중이다. 충청남도 가야산, 경상남도 가야산, 전라북도 내장산, 전라남도 백양사, 백운산, 제주도 한덕계곡 등 우리나라 남부에 한정되어 분포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 노랑무늬붓꽃 (붓꽃 과).Iris odaesanensis Y. Lee 희귀종 (稀貴種) 한국 특산종으로 오대산에서 발견되었으며 분포 범위와 개체군이 작은 희소한 식물이다. 현재까지 강원도 오대산, 대관령, 태백산, 경상북도 팔공산, 주왕산 등에서 관찰되었다.
▶ 대 흥 란 (난 科).Cymbidium nipponicum Makino 희귀종 (稀貴種) 분포 지역과 개체수가 극히 적은 희귀한 식물이다.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 제주도 서귀포 돈네코에만 분포하며 일본의 혼슈와 큐슈에 분포하나 그곳에서도 희귀한 식물이다.
▶ 복주머니꽃 (난 科).Cypripedium macranthum Sw. 취약종 (脆弱種) 비교적 심산에서 자생하는 난과(蘭科) 식물로 분포지역은 광범위한 편이나 개체군이 작다. 꽃이 아름다워 원예가와 난을 애호하는 일반인들에 의해 많이 채취되고 있다. 더우기 근래에는 화원에서 판매되고 있을 정도로 심각한 실정이다. 앞으로도 계속 채취된다면 가까운 장래에 종 보존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의 일부지역에서 관찰되었다.
▶ 천 마 (난 科).Gastrodia elata Bl. 취약종 (脆弱種) 천마는 한방에서 귀한 약재로 인식되어 마구 채취되고 있다. 또 이 식물은 재배하는 데도 많은 어려움이 따라서 종 보존의 위험을 받고 있다. 강원도 계방산, 삼악산, 대룡산, 경기도 광능, 충청북도 민주지산, 경상북도 백운산, 제주도에 자라며 특히 백운산에 많이 자란다. ▶ 백 운 난 (난 科).Vaxillabium yakushimense (Yamamoto) F. Maekawa 위기종 (危機種) 전남 광양군 백운산에서 처음 발견된 식물이나 1974년 백운산 식물 조사시에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1974년 내장산에서 채집된 바 있고 그 이후로는 채집되었다는 보고가 없는 매우 희귀한 식물이다.
▶ 순 채 (순채 科).Brasenia schreberi J. E. Gmel. 위기종 (危機種) 중부 이남의 연못이나 방죽에 자라는 식물로서 근래에는 농지화, 저수지 및 댐 건설 등으로 생육지가 감소되어 위기에 처해 있다. 더우기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하기 때문에 가공하여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육지 파괴와 식용을 위한 채취가 계속된다면 절멸(絶滅)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되는 식물이다. 광주와 충청남도 삽교에서 관찰하였다.
▶ 가 시 연 꽃 (수련 科).Euryale ferox Salisb. 위기종 (危機種) 수생식물로서 과거에는 전국 각지의 저수지나 늪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였지만 최근 농경지 확장, 도로개설 등으로 생육장소의 침입을 받아 점점 감소되어 위기에 처해 있다. 경기도 화성군, 대구, 경상북도 경산군 진량면, 압량면, 경상남도 진주, 함안의 외송늪과 질날늪, 전러북도 전주, 익산군 삼기면, 광주,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에 자란다. 열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분포하며 주요 산지는 인도, 대만, 중국, 일본 및 한국이다.
▶ 세뿔투구꽃 (미나리아재비 科).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희귀종 (稀貴種) 경상북도 금오산, 대구 청룡산, 용제봉, 경상남도 함양 황석산, 산청군 지리산 등 남부지역에 한정되어 분포하고 개체군도 적은 특산식물이다.
▶ 너도바람꽃 (미나리아재비 科).Eranthis stellata Maxim 희귀종 (稀貴種) 강원도 이북의 북부지방에서는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나 중부 이남에서는 국부적으로 제한된 분포를 보여주는 희귀식물이다. 이 식물은 군생(群生)하므로 분포지역에서는 그 개체수가 많으며 지하 괴경은 지상부와 연결이 약하고 깊게 묻혀 있어 식물이 크게 감소할 염려는 없다.
▶ 만주바람꽃 (미나리아재비 科).Semiaquilegia mandshurica Komarov 희귀종 (稀貴種) 만주에만 나는 식물로 생각되었던 북방계 식물로, 경기도 천마산에서 발견되었다. 그 후 축령산, 화야산 등에서 볼 수 있었다. 이들 지역에서는 군락으로 나타나지만 그 분포가 제한되어 있는 희귀식물이다.
▶ 모데미풀 (미나리아재비 科).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희귀종 (稀貴種) 우리나라의 특산종으로 지리산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지역적으로는 광범위하게 분포하지만 쉽게 발견하기 어려우며 개체군의 크기가 극히 작아 종 보존이 불안한 종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 깽깽이풀 (매자나무 科).Jeffersonia dubia Benth 위기종 (危機種) 산지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식물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기 위해 채취하기 때문에 위기해 처해 있다. 문헌에는 강원도, 황해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백두산 등에서 만주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현재 경기도 화산, 경상북도 대구 용제봉에서 발견되었다.
▶ 한계령초 (매자나무 科).Leontice microrhyncha S. Moore 희귀종 (稀貴種) 우리나라에서는 분포 지역이 좁은 북방계 식물인자로서 강원도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 취급되고 있는 희소한 식물이다. 강원도 설악산, 정선, 고한에서 발견되었고 주로 함경북도 백두산과 만주지역에 분포하며 중부 이남에서는 고한이 南限界地域이다.
▶ 끈끈이귀개 (끈끈이귀개 科).Drosel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위기종 (危機種) 전남 진도와 해남에 자란다고 보고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거의 볼 수 없고 1970년 완도군 보길도의 습지(濕地)에서 군락이 발견된 바 있다. 이는 농경지 확장, 수로 변경 등으로 그 생태적 생육지가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각종 개발사업과 토지이용 극대화를 위해 생육지 파괴가 계속된다면 절멸하게 될지도 모르므로 위기에 처해 있다고 본다. 전남 진도, 해남 우수영, 완도군 보길도, 충남 남부지방에 한정되어 분포한다.
▶ 둥근잎꿩의비름 (돌나물 科).Sedum rotundifolium D. Lee 희귀종 (稀貴種) 우리나라 특산식물로서 경상북도 주왕산에만 분포하고 개체군의 수도 많지 않은 희귀식물이다. 주왕산 계곡 폭포의 주변이나 습기가 풍부한 바위 틈에 붙어 자란다.
▶ 능 금 나 무 (장미 科).Malus asiatica Nakai 위기종 (危機種) 과거에는 과수로 인가 주변에 많이 재배되어 왔으나 현재는 사과(M. pumila)같은 과일에 밀려 수익성이 낮아지자 농가에서 사라져 가고있다. 즉, 서울 자하문 밖의 돌산에 재배되고 있는 나무는 병충해로 매년 그 수가 줄어들고 있고, 강원도 치악산 중턱의 영원사에 있는 능금나무는 수령이 200년된 것으로 머지 않아 고사될 것이라고 한다. 강릉시에는 일찌기 상당한 수가 재배되었으나 수익성이 적어서 자두와 오얏나무로 대치했다고 한다.
▶ 나도양지꽃 (장미 科).Waldsteinia ternata (Stephan.) Fritsch 희귀종 (稀貴種) 설악산, 오대산, 치아산, 계방산과 경상북도 주흘산 이북에 나는 희귀 식물로 그 분포지역과 개체군의 수가 많지 못하다. 중국, 일본 북해도, 혼슈 중서부 등 북반구 온대에 분포한다
▶ 개 느 삼 (콩 科).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희귀종 (稀貴種)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특산속(特産屬) 식물이며 함경북도에 자라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중부 이남에서는 강원도 양구에서만 자생하고 있어 분포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 금강제비꽃 (제비꽃 科).Viola diamantica Nakai 희귀종 (稀貴種) 주로 강원도의 산악지대에서 군락으로 발견되는 식물이다. 분포 상태와 개체군의 수가 특별히 위험한 상태는 아니지만 중부 이남에서 흔히 볼 수 없는 특산식물이다. 함경북도 천불산, 평안북도 희천, 황해도 장수산, 강원도 금강산, 성악산, 오대산, 계방산, 공작산, 대룡산, 용화산, 태백산, 경기도 북배산, 가평, 충청북도 민주지산, 충청남도 공주, 논산, 계룡산 등에 분포한다.
▶ 왕제비꽃 (제비꽃 科).Viola websteri Hemsl. 희귀종 (稀貴種) 압록강 근처에서 채집되어 보고된 식물로 삼방을 거쳐 경기도 명지산에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76년 강원도 춘성군 삼악산에서도 발견되었다. 중부에서도 제한된 분포를 나타내는 희귀한 특산식물이다. 함경북도 백두산, 함경남도 삼방, 강원도 계방산, 삼악산, 경기도 명지산 등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만 한정되어 분포한다.
▶ 암 매 (돌매화나무) (암매 科).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Fr. Schm. 취약종 (脆弱種) 중부 이남에서는 유일하게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근처의 암벽에 붙어 자라는데 등산객 수의 증가와 채취로 인해 생육지가 파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함경북도 백두산, 제주도 한라산, 일본의 혼슈 중부 이북의 고산대, 북해도, 간도, 캄챠카, 시베리아,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 한국의 특산식물 ▶특산식물은? 우리나라 한반도에서만 자생하는 식물을 특산식물(Endemic plants)이라고 한다. 발표된 종은 400여종 되며, 가장 많은 종이 나타나는 분포지는 한라산, 지리산, 백두산, 울릉도, 금강산, 설악산등의 평야보다는 산정, 격리된섬, 고층의 습원으로 대개 독립된 환경을 이루는 곳이다. 가는잎할미꽃, 갈퀴현호색, 개족도리, 갯취, 고려엉겅퀴, 금강초롱꽃, 금강애기나리, 모데미풀, 벌개미취, 변산바람꽃, 산개나리, 서울제비꽃, 일월비비추, 점현호색, 참좁쌀풀, 태백기린초, 홀아비바람꽃, 노랑할미꽃, 솜다리, 새끼노루귀
▣ 혼동하는 용어-보존.보호.보전 자연보존과 자연보호, 그리고 자연보전. 이 세 용어를 정확히 사용 하는 사람들이 드물다. 환경운동가들조차 제대로 가려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세 용어는 인위적 관리의 유무 또는 강약, 생태계의 자연 성 등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 먼저 보존(preservation)은 원상태의 고유한 생태 계를 유지하기 위해 이용은 물론 인위적 관리를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국립공원의 일부 지역 등 자연상태가 매우 양호한 생태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개념으로 어떠한 인위적인 관리도 배제한다. 보전(conservation)은 다소 원상이 변형된 생태계에 대한 관리로써 제한적인 이용과 최소한의 인위적 관리를 도모하는 것이다. 침식방지를 위한 시설이나 식생복원 등은 이러한 관리 방침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보호(protection)는 상당히 변경되어 훼 손된 생태계에 대한 관리 개념으로 제한적인 이용과 강도 높은 인위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다. 석축 설치, 등산로 정비, 철책 설치 등이 이러한 관리를 적용한 예 다. 관악산 계곡에서 쓰레기를 줍는 것은 자연보호, 도립공원의 자연생태계 정 책은 자연보전, 국립공원의 관리 방침은 자연보존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용어의 옳은 선택이라 할 수 있겠다.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경우 지난 95년부터 보호, 보전, 보존으로 이 어지는 10개년 계획을 수립해 생태계 관리의 목표로 삼고 있다. 이 계획에 의하면 오는 2000년부터 5년 내에 국립공원 생태계 관리의 주안점이 보존 위주로 전환된다.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라새우란. (0) | 2008.02.17 |
---|---|
[스크랩] 새우난초 (0) | 2008.02.17 |
[스크랩] 야생초 찾기 (0) | 2006.05.17 |
[스크랩] [야생화 기르기]야생화의 배양 (0) | 2006.05.15 |
[스크랩] 식물정보 요약 (0) | 2006.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