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스크랩] 돌과 야생화


돌과 야생화 분경
 1) 야생화 분경용 돌의 종류 
① 어떠한 돌이 적당한가?
ㄱ. 돌 모양에 변화가 많아야 한다. … 석부용 돌
ㄴ. 보수성(保水性)이 좋아야 한다.
ㄷ. 통기성(通氣性)이 좋아야 한다. 
ㄹ. 가볍고 가공하기 쉬운 돌이 좋다 … 경석(輕石) 등
ㅁ. 평석(平石)은 단단한 자연석이 좋다 … 구들돌 등
② 경석(輕石) … 백두산, 울릉도의 경석이 적당함
ㄱ. 보수성, 통기성, 단열성이 좋다.
ㄴ. 기화열(氣化熱)로 식물의 뿌리를 식혀 준다.
ㄷ. 특히 고산식물의 배양에 적당하다(돌화분, 조석분 등)
③ 제주석  …  석질이 강한 제주도의 용암석
ㄱ. 석질이 강하고 변화가 많아 석부(돌붙임)에 많이 쓰인다.
ㄴ. 보수성, 통기성이 부족하다. … 수반 위 등에 얹어서 관리하면 좋다.
ㄷ. 조석분(組石盆)에 이용할 수 있다.
ㄹ. 석부(石付)용에 많이 쓰인다.
2) 야생화와 돌 
① 야생화는 돌과 조화되어야 가장 아름다운 모습의 자연 경치를 이루게된다. … 
자연 경관은 나무(木), 돌(石), 야생초, 이끼 등이 이루어낸 예술 작품이다.
② 고산식물과 암벽 등에 자생하는 앙증맞고, 건조에도 강한 야생화 등이 분경 
작품에 적당하다.
③ 도라지과, 용담과, 앵초과, 장미과, 패랭이과, 국화과 식물들에 돌에    심거나 
붙이는데 적당한 종류가 많다.
④ 돌에는 야생화를 많이 붙이지 말 것 … 자연 상태의 한 송이 꽃이
    더 아름답다.
3) 경석분(輕石盆) 
① 경석에 구멍을 파서 만든 화분이다.
  암벽 등의 자생식물을 상상해서 구멍을 2∼3개 만든다.
② 돌의 결
ㄱ.  가로 … 보수성이 양호하다.
ㄴ. 세로 … 배수가 잘 되나 보수성이 나쁘다.
③ 돌에 심는 구멍 파기 … 돌의 한가운데는 피하여 구멍을 팔 것
ㄱ. 철쭉, 만병초 등 … 배수성을 생각해서 중앙보다 윗쪽에 심는다.
ㄴ. 암매, 처녀 도라지, 색단초 등 … 구멍을 작게 만든다.(5cm 정도)
ㄷ. 고산성 앵초, 성주풀 등의 고산식물 … 구멍을 크게 만든다.(10 cm 이상)
④ 심는 구멍
ㄱ. 한쪽편 … 2cm 정도의 벽을 만들어 통기성을 좋게 한다.
ㄴ. 반대쪽과 밑바닥 … 보수성을 생각해서 두껍게 팔 것
ㄷ. 구멍의 모양 … 부등변 삼각형 모양이 적당하다.
    (자연에는 둥근 모양의 구멍은 거의 없다)
ㄹ. 둥근 모양의 구멍 … 뿌리가 빙빙 돌아서 힘이 넘치기 쉽다(식물이 너무 웃자란
다.)
⑤ 경석으로 조석분(組石盆) 만들기 
ㄱ. 가벼워서 취급하기 편하다.
ㄴ. 석질이 연해서 조각하기 쉽다. … 자연경(돌모양)을 만들기 쉽다.
ㄷ. 만드는 법
   돌과 돌 사이는 순간 본드로 붙인다.(모래, 시멘트 가루 이용)
4) 조석분(組石盆)
① 야생화와 조석분 … 바위틈을 파고들거나 자갈사이에 자라는 야생화들은 뿌리가 
돌의 틈 사이로 파고들면서 고생스럽게 자란다.
② 조석분과 석부용 돌 … 조석분은 석부 할 때 돌과는 다르며, 3∼5개 정도의 돌을 
짜서 만든 화분이다.(제주석, 경석 등을 이용한다.)
③ 조석분 만드는 방법
ㄱ. 大, 中, 小의 각각 다른 것을 짜서 맞춘다. … 3∼5개정도의 홀수
ㄴ. 모양 
  정면이나 위에서 봤을 때 … 부등변삼각형 모양이 되게 만들고, 구멍도 같은 모양
이 되게 한다.
  심는 구멍의 위치 … 중앙에 오지 않도록 한다.
ㄷ. 조석분은 돌을 보는 것이 아니라 1년∼수년후의 돌과 야생화와의 조화와 균형 등
을 상상해서 만들어 져야 한다.
5) 평석(平石)과 분경
① 수성암의 평평한 돌(구들돌 등)을 이용한다. 
② 분 없이 붙여심기에 적당하다. … 분 없이 높게 심는 것이 식물이 가장 잘 자라
게 하는 방법이다.
③ 습지성 식물과 초원지대의 식물 등의 작품에 적당하다.
   (해오라비난, 방울새난 등과 대부분의 초원지대의 분경작품에 많이 쓰임)
④ 용토는 분에 심을 때와 같음
⑤ 이끼로 감싸주어야 한다.
⑥ 평석 분경의 가장자리는 돌의 결을 (자연상태로)노출시키는 것이 좋다.
6) 조형분(造型盆) 작품의 관리법
① 조형분(경석분, 조석분, 평석) 작품의 관리법
② 수반 위에 물만 넣어 두면 뿌리가 썩는 원인이 되므로 모래를 깔거나 헌 융단을 
깔고 그 위에 분을 두고 하루 한번 정도씩 물을 주는 것이 좋다.(석질이 단단한 조석
분과 평석분)
③ 분갈이
ㄱ. 물이 잘 빠지지 않을 때나 꽃이 진 뒤에  뿌리 막힘을 막아야 한다.(보수성, 통
기성이 나쁜 분은 매년 하는 것이 좋다)
ㄴ. 경석분, 조석분 등 보수성과 통기성이 있는 분은 분갈이를 안해도 된다.
ㄷ. 조석분 등은 야생화를 심지 않아도 모래를 채우고 매일 물을 뿌려 주는 것이 좋
다.(양석, 고태미가 생긴다.)
출처 : 무심야생초회
글쓴이 : 송죽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