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스크랩] 자생화 분화 재배기술

외국 꽃은 화려하고 풍성하지만 금방 실증이 나는데 우리 꽃은 생김새가 귀엽고 색과 향이 진하지 않으면서 은은해 친근하며 편안한 느낌을 준다.
자생화는 도시인에게는 고향의 향수를 느끼게 하고 어린이에게는 심오한 자연의 이치와 섭리를 일깨우는 자연의 학습자료인 동시에 우리 것에 대한 자긍심과 긍지감을 느끼게 해 준다.

♣ 분화재배기술

가. 자생화 선정조건
자생화를 화분에 재배하기 앞서 다음의 조건을 살펴본 후 선정하여 재배 하는것이 좋다.
(1) 구하기 및 가꾸기 쉬운것
(2) 가급적 초장이 적은것
(3) 잎, 꽃, 열매등이 관상가치가 클것
(4) 계절적인 감각의 풍부할것
(5) 고유의 향기나 모습을 지닐것

나. 식재방법
자생지의 조건을 최대한 만들어 주는것이 관건이다. 뿌리와 눈이
충실한 것을 골라 3,5,7홀수로 심되 잎 자생화 겹치지 않도록 촘촘히
심어서 풍성한 감을 주도록 한다.
식재시 가운데에 봉을 만들어 위에서 앞으로 심어 오도록하고
뿌리를 살짝 덮은후 고정은 가는 마사로 하고 이끼를 뿌려서 관상
가치를 높여준다.
원형화분은 2/3 지점을 제일 높게하여 앞면으로 경사지게하며 앞면
은 비워서 공간을 둔다.
타원형 화분은 3:7정도에서 좌우로 경사지게 하며 끝부분을 비워서
넓게 보이도록 한다.
식재가 끝나면 조심스럽게 관수하고 50% 차광망을 시설 한곳에서
7∼8일 순화시킨후 재배 장소로 이동한다.

다. 물주기
매일 물을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기상상태, 장소, 분종류
생육상태에 따라서 가감하도록 한다.
봄, 가을은 아침 9∼10시경에 한번정도 주고 겨울철에는 5∼7일에
한번정도가 적당하다.
가장 어렵고 중요한것이 여름인데 이시기에 물을 잘못주면 뿌리가
식살하므로 저녁이나 아침일찍 준다. 해가 있을때의 물주기는 절대
로 않되며, 해가진뒤 기온이 내려간 저녁 또는 새벽에 충분히 준다.
그러나 밤에 물주기는 도장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토록 한다.
즉, 한여름 30일 정도만 밤에 주고 그 외에는 해뜨기전 아침에 주며
밤에는 잎에 물을 뿌려 먼지도 씻고 시원스럽게 해준다.

라. 시 비
봄꽃이 지고난뒤 제4종복비를 1∼2회 엽면시비와 관수시 물에 희석
하여 준다. 장마 시작전(6.20일)과 끝난뒤에 각1회씩 9∼10월경,
1∼2회 깻묵이나 제4종복비를 주도록 한다.
액비와 깻묵을 환을 만들어 화분위에 올려 놓으면 서서히 분해되어
비료효과가 나타나므로 생육이 좋다. 발효된 깻묵가루를 나뭇잎이나
벼짚재를 20%정도 섞어서 물에 이겨 3∼4일준후 다시 20%의 골분
을 섞어 물에 이겨서 환을 만든다.
요즘 시중에는 환을 만들어 시판 하므로 손쉽게 구하여 사용해도 된다.

마. 재배장소
햇빛 및 통풍이 잘되는 곳이 좋다. 대부분 식물은 오전에 광합성이
70∼80% 이루어 지므로 오전만 햇빛이 들어오는 곳이면 무방하다.
또한 자생화는 반음지 식물이 많기 때문에 재배장소는 반나절이 상만
햇빛이 드는곳이면 좋다.

바. 병해충 방제
대체적으로 달팽이, 나방, 진딧물, 잎마름병, 흰가루병이 문제시 된다.
달팽이는 민달팽이와 같이 잎을 송상하여 관상가치를 저하 시켜주므로
라메톡스, 오이로 유인하여 구제하거나 화분 주위에 석회를 뿌려준다.
나방은 방치하면 방제가 어려우므로 아타브론, DDVP+타스타+ 지오릭
스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진딧물은 코니도, DDVP+타스타로 방제하여 잎마름병과 흰가루병은
안트라콜, 벤레이트, 톱신 등을 여름장마철과 고온기에 3∼4회 살포한
다.

♣ 분화재배 유망 자생화 70종 ♣
금낭화(양귀비과), 할미꽃(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미나리아
재비과), 앵초(앵초과), 제비꽃(제비꽃과), 노루귀(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미나리아재비과), 윤판나물(백합과), 피나물(양귀비과), 처녀
치마(백합과), 석곡(난초과), 설앵초(앵초과), 니나벌이난초(난초과),
붓꽃(붓꽃과), 노랑붓꽃(붓꽃과), 천남성(천남성과), 은방울꽃(백합과),
땅비싸리(콩과), 연녕초(백합과), 복주머니꽃(난초과), 꿀풀(꿀풀과),
무늬둥굴레(백합과), 돌단풍(범의귀과), 돌양지꽃(장미과), 병아리난초
(난초과), 옥잠란(난초과), 닭의난초(난초과),백리향(꿀풀과), 노루발
(노루발과), 콩짜개난(난초과), 매발톱꽃(미나리아재비과), 꽃창포(붓꽃
과), 석창포(천남성과), 둥굴레(백합과), 기린초(돌나물과), 패랭이꽃(석
죽과), 바위채송화(돌나무과), 벌개미취(국화과), 하늘말나리(백합과),
해오라비란(난초과), 지리터리풀(장미과, 노루오줌(범의귀과), 등꼴나
물(국화과), 제비란(난초과), 큰앵초(앵초과), 제비동자꽃(석죽과), 비비
추(백합과), 동자꽃(석죽과), 분취(국화과), 꽃향유(꿀풀과), 층꽃(마편
초과), 낮은부채(천남성과), 수리취(국화과), 꽃무릇(수선화과), 감국(국
화과), 물매화(범의귀과), 용담(용담과), 석위(고란초과), 뱀톱(석송
과), 다람쥐꼬리(석송과), 석송(석송과)

※ 참고문헌
자생화 재배기술 연재 '92∼'94 (18권) 농약정보
한국의 자생식물 1989 농촌진흥청
몸에 좋은 산야초 1989 윤평섭
출처 : 무심야생초회
글쓴이 : 송죽매 원글보기
메모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료의 생리  (0) 2008.04.08
[스크랩] 산이끼 사용에 관하여  (0) 2008.04.08
[스크랩] 야생화 재배 포인트  (0) 2008.04.08
[스크랩] 해오라비 난초 가꾸기  (0) 2008.04.08
[스크랩] 야생화 가꾸기  (0) 2008.04.08